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Half Road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Half Road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91)
    • 네트워크 (2)
    • 개발 (10)
    • 웹퍼블리싱 (7)
    • DB (2)
    • Linux (11)
    • 개발 환경구축 (21)
    • Git (5)
    • 개발일지 (4)
    • Vue.js (10)
    • python (5)
  • 방명록

전체 글 (91)
[vue]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null (reading 'isCE') 해결 (vue & vite 사용자)

vue-slider-component 컴포넌트를 쓰는데 갑자기 제목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pacakge.json 에도 변화가 없고 업데이트나 설치를 한 것도 없는데 해당 에러가 갑자기 발생해서 당황스러웠다... 이전 branch로 돌려서 테스트 해보았으나 역시나 실패.. 몇시간 해메다가 해결책을 찾은건 vue, vite 버젼 업그레이드가 해결책이 였다. "dependencies": { "vue": "^3.4.21", // prev: ^3.2.38 ... }, "devDependencies": { ... "@vitejs/plugin-vue": "^5.0.4",// prev: ^3.0.3 "@vitejs/plugin-vue-jsx": "^3.1.0", // prev: ^2.0.1 "vite": "^5.1..

Vue.js 2024. 3. 12. 18:00
[Linux] Disk Full 발생 시 해결 과정

서버 쪽 Disk Full로 인해 App이 정상 동작하지 않았다. 해결한 과정을 기록해본다. 아래 테스트 과정은 실제 서버가 아닌 가상머신에서 한것으로 OS는 OS는 CentOS 7 이다. 디스크 공간 확인 # df: Disk Free df -h 위와 같이 mount 경로 별 여유공간을 확인 할 수 있다. Disk Full이 발생한 경로를 확인해주었다. 그 다음은 Mount 경로에 사용되는 Disk를 확인한다 저장공간 확인 # lsblk: list block devices lsblk -l 위 명령으로 disk, partition, lvm 등과 같이 저장공간에 대한 MountPoint를 확인할 수 있다. df 명령어를 통해서 disk full이 난 경로를 확인하고, 어떤 저장공간에 대해서 조치를 취할지 결..

Linux 2024. 2. 8. 12:54
[Docker] 컨테이너 로그 관리 (feat. Disk Full)

도커를 이용해서 gitlab 서버를 관리하였는데 어느날 되지 않아 확인해보니 Disk 사용 공간이 부족 하였다. docker 관련 파일들이 모인 경로에 여유 공간이 부족하였는데, gitlab 컨테이너 volume은 용량이 넉넉한 Disk 쪽으로 mount되어 있는데 이해가 가지 않았다.. 🤔 대체 어떤 데이터가 쌓이고 있었을까? 그건 바로 컨테이너 로그 였다. Container log 확인 1차 적으로 df -h와 du -sh * 등의 명령어를 통해 disk full이 발생한 경로들을 추적한 결과 /var/lib/docker/containers 경로 용량이 컸는데, container 쪽에 왜이렇게 용량이 큰가를 보았더니 아래와 같이 log 파일이 발견 되었다.😲 [root@localhost dd4aa49..

개발 환경구축 2024. 2. 8. 10:35
Docker Compose 구성 실습 - node express, mysql 연동

하나의 App을 구성하기 위해 Container를 여러 개 실행해야 할 경우 Docker Compose가 유용하다. 하나의 file로 관련된 Container 설정을 해놓으면 해당 file을 통해 관련 Container를 모두 실행할 수 있기 때문. 간단한 node server(express)와 mysql Container를 Docker Compose로 구성해보겠다. Directory 구성 node 구성 설치 패키지 npm i expree npm i mysql2 파일 server.js, db/index.js 두 개의 파일로 구성한다. db/index.js ✔️ 여기서는 host에 network alias를 사용했다. 이후에 network alias를 mysql로 진행하는 것을 보겠다. // db/inde..

개발 환경구축 2023. 1. 19. 17:59
[Docker] 생성된 Container Image로 만들기

container를 생성하여 일련의 작업을 한 뒤에 image를 만들 필요가 있다. 이럴 때 commit 명령어를 이용한다. node:19-alpine image를 통해 container를 생성하고, 간단한 작업 후 새로운 image를 만들어보겠다. Container 생성 컨테이너 생성 시 shell 접속을 한다. # 이름이 ND인 컨테이너 생성 docker run -it --name ND node:19-alpine sh Container에 파일 생성 shell로 접속 했으면 아무 file을 하나 생성해준다. 나중에 image로 만들고 컨테이너 생성 시에 확인할 file이다. Container -> image docker commit ND test-node # ND Container -> test-nod..

개발 환경구축 2023. 1. 18. 16:24
[Docker] 간단한 node Image 만들기 실습

node express를 활용해서 간단한 웹 서버를 띄우는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Docker 설치는 되어있어야 합니다. 저는 Ubuntu 환경 에서 실습하였습니다. File 준비 Docker image를 build 하기 위한 Dockerfile 과 node 서버 코드가 담긴 server.js를 작성합니다. 현재 환경 현재 경로 : /root/nodetest 필요 파일 : Dockerfile, server.js server.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get("/", (req, res) => { res.send("안녕"); }) app.listen("3000",() => { console.log('server is st..

개발 환경구축 2023. 1. 18. 14:04
[Linux] mount 실습 예제

mount point 생성 mount point로 활용 할 임의의 directory를 생성한다. mkdir /mp1 /mp2 mount 과정 sdb disk를 기준으로 mount를 할 것이다. 현재 2개의 parti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록 확인 fdisk -l mount mount /dev/sdb1 /mp1 mount /dev/sdb2 /mp2 mount 정보 확인 lsblk mount 영구 반영 mount 명령어를 통해 진행한 정보들은 재부팅 시 초기화된다. 재부팅 시에도 설정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선 설정 파일에서 작업을 해줘야 한다. 설정 파일: /etc/fstab fstab : Filesystem Table 파일 편집 vi /etc/fstab 위에 주석은 Redhat 홈페이지에서 fie..

Linux 2023. 1. 15. 17:38
[Linux] Disk partition 하기 (fdisk)

실습을 위한 글입니다. 진행 과정중에 상세 내용들은 없으니 참고바랍니다. 현재 device 목록 확인 fdisk(fixed Disk) fdisk -l partition 진행 command fdisk /dev/sdb 결과 관련 명령어 확인을 할려면 ‘m partition partion은 2개를 생성할 것이다. 10G, 10G partition을 생성한다. partition1 값을 입력하지 않고 Enter를 하면 Default 값으로 설정됨. setor크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20G를 2개의 파티션으로 나눌 계획이므로 Last sector: 10G로 지정 partition2 partition 확인 partition type 설정 partition type을 설정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Linux type..

Linux 2023. 1. 15. 15:56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nuxt3 structure
  • docker image 경량화
  • vue onunmounted
  • vue watch 대체
  • Oracle Database 19C 설치
  • 티스토리챌린지
  • docker mssql 이미지 생성
  • unmounted composable
  • vue watch 위험성
  • vue watch 문제점
  • dockerignore
  • vue unmounted
  • nuxt3 eslint prettier 설정
  • Oracle Database 19c install
  • nuxt3 프로젝트 설정
  • vue 이벤트 해제
  • unmounted document.addlistener
  • 외래키 삭제
  • unmounted setinterval
  • 스파르타 코딩클럽
  • docker multi stage build
  • 스마트피싱보호_캠페인
  • nuxt3 quasar 설정
  • unplugin-auto-import
  • 오블완
  • docker mssql
  • docker mssql create database
  • vue 타이머 해제
  • oracle 19c 설치
  • vue 리팩토링
more
«   2025/11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